대학원

교과목해설

교육매체론(Educatonal Media)
학교교육에서 교육매체의 의의와 역할을 이해하고 교육공학의 발달에 따른 각종 교육매체 제작 및 활용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매체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한다.
기록관리론(Records Management)
대학운영, 기업경영처럼 기관 운영에 수반되는 각종 기록 혹은 문서의 성격과 역할, 효과적인 기록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에 관련된 원칙과 기법을 다룬다.
정보조사제공특론 (Studies in information Services
정보의 개념, 지식구조 규명을 위한 계량서지학적 이론, 색인이론, 검색이론 등 정보학의 이론적 측면을 다룬다.
이용자교육론 (User Education)
정보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조세제공 이론 분석, 정보조사제공 영역, 정보사서의 자격, 이용자연구, 정보면담, 평가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멀티미디어시스템 (Multimedia Systems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교육계획, 교과과정, 교수법, 행정적.재정적 조치를 포함한 도서관?정보센터 이용자를 교육하는 문제, 즉 서지교육을 다룬다.
디지털도서관 연구 (Studies in Digital Library)
도서관과 정보센터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정보처리 및 이를 응용한 멀티미디어시스템의 구축에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도서관 . 정보 센터 경영특론 (Studies in Manage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각종 도서관 정보센터, 정보기구의 경영 활동, 이를테면 기획, 조직, 인사, 통제, 재정, 평가에 관련된 당면 주요 문제를 다룬다.
정보조사제공특론 (Studies in information Services)
정보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조세제공 이론 분석, 정보조사제공 영역, 정보사서의 자격, 이용자연구, 정보면담, 평가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도서관·정보센터 업무평가론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도서관과 정보센터의 각종 업무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과 척도를 다룬다. 목록, 장서, 이용, 비용 대 효과 분석 등을 포함한다.
학술정보센터경영특강 (Seminar in Management of Academic Libraries)
고등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역할 분석, 정보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새로운 봉사계획의 수립, 학술정보망을 이용한 협력활동, 분교·분관 등 대학도서관 경영상의 특수문제를 다룬다.
전문정보센터경영특강 (Seminar in Management of Special Libraries)
과학, 기술, 산업, 언론, 정부 등 전문주제분야 정보센터 경영상의 특수문제(이를테면 전자정보화와 그 이용)와 해결방안을 다룬다.
문헌정보학특론 (Advanced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정보의 유통 및 재생산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봄으로서 문헌정보학의 개념, 이론체계 및 각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각 전공과목에 입문하는 길을 열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보서비스측정및평가
도서관 및 검색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위해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과 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의대상은 도서관 소장 자료 및 참고자료, 정보검색서비스의 효율성, 정보전달 시스템, 네트워킹, 기술지원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또한 대출 및 수서, 자료 조직 등 정보서비스를 지원하는 업무도 연구의 대상에 포함된다. 궁극적으로 정보서비스 평가 모델과 관련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한다.
정보정책특강 (Seminar on Information Policy)
정보유통 및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정책의 수립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별정보원및서비스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
학문의 세분화와 함께 이용자의 정보요구수준도 고도화 및 전문화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요구추세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사서의 주제전문가로서의 변신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고도의 주제전문가는 해당 학문 주제분야의 배경과 함께 이용자중심의 정보요구행태 요구를 분석해야 한다. 또한 관련 주제전문 분야의 웹정보자원의 원활한 획득능력과 수준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는 이 과목이 추구하는 학술적 연구방향이며, 이에 대한 전반적이고 심도 있는 이론적 배경을 교수한다.
전자도서관포털시스템 (Library Portals)
포탈시스템에 대핸 전반적인 이해 및 포탈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도서관 웹포탈의 다양한 측면(접근, 인증, 공유, 커뮤니티, 검색, 저장 등)을 연구한다. 또한, 현재 상업용 또는 비상업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도서관 웹포탈 시스템을 평가한다.
멀티미디어 지적재산권 세미나 (Seminar in laws Related to knowledge Information)
디지털도서관 개발에 가장 큰 문제의 하나인 지적재산권과 저작권 문제를 최신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살피고 국내실정에 적용 여부를 검색한다.
기록정보기술론 (Description of Archives and Records)
디지털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도서관 구조 및 기반기술을 이해함으로써 차세대 디지털도서관 구축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도서관의 발전 과정 및 구축 사례, 디지털도서관의 구조 및 기반기술, 디지털 장서의 구축 및 보존,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디지털도서관 가 등을 포함한다.
이용자인터페이스설계 (User Interface Design)
출처주의와 원본질서 원칙에 따른 기록정보의 조직기법을 습득한다. 특히 ISAD(G)와 DACS, ISAAR(CDF) 등의 국제 표준에 따른 기술 원칙과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과 문화재에 대한 레코드를 직접 제작함으로써 전문성과 현장 적용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를 포함한다.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이용자 행태와 정보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를 다룬다. 본 과목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현존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평가, 비평하고 인터페이스 구축 보조 도구인 델파이를 이용하여 직접 자신들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도록 하는데 있다.
색인·초록 이론 연구 (Seminar in Abstracting and Indexing)
연구방법론의 기초 개념을 소개하고,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연구방법의 종류와 그 장단점을 토론하고 SPSS나 SA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및 통계처리방법을 습득한다.
정보이용자연구(Studies in Information User)
색인 및 초록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사례를 검토한다.
정보의시각화와 표현방법(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Presentation)
정보의 효과적 전달과 응용을 위한 이론과 실제적인 이용자 행태에 관하여 다룬다.
정보서비스세미나 (Seminar in Information Services)
각종 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이론 및 현상을 다루어 학생들로 하여금 독자적인 학문적 고찰에 필요한 기본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서비스의 개념 및 현황, 참고정보서비스, 디지털도서관의 개인화 서비스, 사회네트워킹 서비스, 지식공유, 정보서비스 평가 등에 관한 논문을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각 주제별로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토론하여 이론, 현상, 방법론의 세 가지 영역을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인문과학정보조사제공특강 (Seminar in Information Services in the Humanities)
인문과학 연구자와 이용자에게 적용할 정보조사제공 이론, 특히 인문과학분야의 정보조사제공을 위한 정보사서의 문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및 정보망의 이용 등을 연구한다.
텔레커뮤니케이션과 도서관전산망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 Networks in Libraries)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도서관전산망에서 응용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Z39.50, ILL)에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공공도서관운영론
공공도서관의 이념과 원칙 및 실제에 관하여 역사적 발전, 법적 정치적 재정적 측면, 운영, 봉사와 정책 수립 등을 중심으로 다루며, 특히 봉사의 최근 동향과 제반 문제를 현장 사례 중심으로 심층 분석한다.
전자레코드관리론
전자문서시스템(EDMS) 및 레코드관리시스템(RMS)의 설계, 구축, 응용에 관해 고찰하며, 이들 시스템에 기반하여 설계되는 통합적 관리시스템의 구축방법 및 원칙을 연구한다.
기록관리세미나
기록관리 분야에 있어 당시의 연구경향, 요구 등에 따라 연구문제를 선정하여 문헌연구 및 토론을 통해 해당 분야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기록정보봉사론
기록정보의 이용 및 접근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참고업무의 원칙, 개념을 고찰하며, 기록정보의 관리 및 이용환경, 이용자 및 이용 상의 특성, 조건 등에 관해 연구한다.
정보자원협력론
전자화되어 가는 정보 환경 속에서 다양화/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자원협력시스템의 구조와 유형 및 운영 원리 및 최근의 협력사례들을 분석한다.
정보시스템분석론
시스템 분석의 이론을 연구하며 특히 정보시스템의 구조와 경영의 원칙과 실제를 다룬다. 정보검색 시스템의 디자인 및 평가를 포함한다.
정보서비스 평가론
정보 자원과 봉사를 다양한 각도에서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 및 제 방법론 및 적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문헌정보학세미나
문헌정보학에서 분야를 설정하여 집중적인 문헌 연구를 통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연구의 필요성을 밝힌다.
기록관리체계 및 제도 (Records Management System)
문서의 개념과 종류, 문서로서의 효력발생시점 등 공문서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작성 방법, 사무관리 규정상의 문서관리 규정 등 실제 관리 능력을 학습한다. 아울러 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사무자동화를 포함한 기업체에서의 문서관리 체계를 다룬다. 특히 한국에서 고문서를 포함한 기록의 제작과 관리체계, 기록보존소의 유형과 관련 정책, 기록의 제작과 관리, 이용에 관한 법률이나 규정 등을 다룬다.
지능형정보검색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인공지능을 응용한 정보검색시스템에 관해 이론과 사례를 다룬다.
정보공학 (Information Engineering)
정보검색시스템의 개발 및 구현을 위해 필요한 검색이론 및 모형을 연구, 검토하고 이들을 응용한 정보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국제도서관.정보업무론 (International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국제간의 도서관.정보협력활동과 국제기구의 도서관?정보업무를 다룬다.
목록학특강 (Seminar in Cataloging)
목록의 중요 문제와 발전방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특히 서지적 관계유형과 연결구조, 전거제어에 따른 문제를 진단하고, 기술소요의 확장을 통한 목록기능의 발전방향을 검토한다.
정보시스템설계(Information System Design)
정보시스템의 설계,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토의하고 연구한다.
기록관리체계 및 제도 (Records Management System)
문서의 개념과 종류, 문서로서의 효력발생시점 등 공문서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작성 방법, 사무관리 규정상의 문서관리 규정 등 실제 관리 능력을 학습한다. 아울러 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사무자동화를 포함한 기업체에서의 문서관리 체계를 다룬다. 특히 한국에서 고문서를 포함한 기록의 제작과 관리체계, 기록보존소의 유형과 관련 정책, 기록의 제작과 관리, 이용에 관한 법률이나 규정 등을 다룬다.
정보이용교육 특론(Advance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도서관 이용자에게 도서관자료와 봉사에 대하여 가르쳐 줌으로써 그들 스스로 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용자교육의 목적이다. 다종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다루고 아울러 도서관의 PR활동과 방법도 살펴본다.
지식조직론 (Knowledge Organiztion)
다양한 지식들을 하나로 조직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다룬다.
정보분석평가론 연구 (Seminar on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다양한 성격의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다시 그 평가를 연구하여 다양한 정보를 분석한다
정보행위이론연구 (Seminar in Ingormation Behavior)
정보를 습득하고 배포하는 모든 형태와 행위를 연구하고 실질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획기적이고 필수적인 이론을 살펴본다.
정보사회론연구 (Information Sociology)
정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의 정보의 올바른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한다.
정보매체연구 (Advanced Information Media)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매체를 개발하고 연구하여 가장 획기적이고, 능률적인 매체를 선택하는 것을 연구한다.
정보네트워크연구 (Advanced Information Networking)
정보 네트워킹에 관해 연구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킹 방안을 모색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작한다.
웹 기반 시스템 연구 (Advanced Web based System)
웹을 이용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시스템의 기초와 필요성을 인지하고 연구한다.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론 연구 (Seminar on Designing Web-Based Database Systems)
웹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연구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기초를 다지는 방안과 방법을 연구한다.
멀티미디어컨텐츠관리 (Multimedea Contents Management)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을 이해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수집, 저장, 및 검색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기법을 연구한다. 또한 현재 개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솔루션을 분석한다.
학술정보서비스 연구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학술세미나 및 학술 정보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에 관해 연구하고 이론 및 실질적 실무를 습득한다.
전문정보센터특강 (Seminar on Information Center)
대학도서관 경영에서 주제를 선별하여 그 이론들을 문헌에서 살펴보고 그 실제에 대해 조사, 발표, 연구하고, 다양한 전문도서관 운영의 내용을 그 이론과 실제의 조사 발표를 통하여 검토한다.
도서관·정보센터 경영기법론 (Management Techniques for Library & Information Center)
경영학, 행정학, 관리학 분야에서 개발된 경영이론에 근거한 도서관경영에의 도입과 그 사례들을 조사 연구하고 정보센터의 경영기법 중 선별된 주제에 대하여 그 이론을 문헌에서 조사하고 실제 응용에 대한 사례를 연구한다.
도서관정책론 (Studi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국내외 도서관 관련 법제도에 대해 조사, 발표, 연구한다.
대학도서관운영론 (Studies on University library management)
대학도서관 경영 중 특수주제를 선별하여 그 이론과 실제에 대해 조사, 발표, 연구한다.
온라인정보검색 (Information Retrieval)
온라인 정보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온라인 정보검색, 이미지 및 비디오 동영상 검색, 지능형정보검색, 다양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소셜네트워크 (Social networks)
웹에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소셜네트워크 분석방법 및 툴에 대해 다루고 이를 적용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한다.
정보학특강 (Seminar on The Information Science)
정보학의 학문적 기반 및 이론에 대한 다양한 이슈들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의 링킹시스템, 정보보호, 검색인터페이스, 정보처리 표준화, 디지털 아카이빙 등에 대해 연구한다.
공공도서관경영연구 (Studies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공공도서관 경영 중 특수주제를 선별하여 그 이론과 실제에 대해 조사, 발표, 연구한다.
메타데이터 특론 (Advanced Metadata)
네트워크자원의 기술을 위해 개발된 각종 메타데이터의 기술요소와 구조, 태깅(tagging), 매핑(mapping)기법을 검토하고, 상이한 메타데이터간의 연결구조를 검토한다.
연구지도 Ⅰ
(Directed Research Ⅰ)논문계획에 대한 정기적 면담을 실시한다.
(석사과정)
연구지도 Ⅱ
(Directed Research Ⅱ)논문계획에 대한 정기적 면담을 실시한다.
(박사과정)
TOP